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종합소득세 vs 연말정산 차이 완전정복!

by 금쪽언니 2025. 5. 8.

초년생·중간 퇴사자·부업러라면 지금 꼭 확인하세요

연말정산이랑 종합소득세 신고, 도대체 뭐가 다를까요?
특히 직장을 막 다니기 시작한 사회 초년생이나 작년에 퇴사한 분들, 유튜브나 블로그 같은 부업으로 수익을 얻은 분들에겐 매년 5월이 참 헷갈리는 시기일 거예요.

“나는 회사에서 연말정산 했는데, 또 뭔가 신고하라는 건 뭐지?”
“작년에 쿠팡파트너스로 몇십만 원 벌긴 했는데, 신고 대상일까?”

이런 고민이 들었다면 지금부터 꼭 읽어보세요.
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, 그 차이부터 신고 방법까지 정리해 드릴게요!



✅ 연말정산이란?
• 대상: 회사 다니는 근로자 (급여를 받는 정규직, 계약직 등)
• 시기: 매년 1~2월
• 방법: 회사가 자동으로 처리해 줍니다
• 결과: 미리 낸 세금이 많으면 ‘환급’, 부족하면 ‘추가 납부’

예를 들어 2024년에 월급에서 세금을 조금 더 냈다면,
2025년 1월에 연말정산 결과로 몇십만 원 환급받을 수도 있어요.
회사에서 대신해주니 손댈 게 거의 없죠.



✅ 종합소득세란?
• 대상: 프리랜서, 사업자, 유튜버, 작년 퇴사자, 부업 중인 일반인 등
• 시기: 매년 5월 1일 ~ 31일
• 방법: 본인이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직접 신고
• 내용: 근로 외 모든 소득을 합산해 납세자가 스스로 정산

예를 들어,
2024년 한 해 동안 블로그 협찬, 쿠팡파트너스, 스마트스토어 등으로 300만 원 이상 벌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에요.



✅ 자주 헷갈리는 케이스 Q&A

Q. 중간에 퇴사했는데 연말정산 못 했어요.
→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환급받을 수 있어요!
직전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안 해줬다면 이걸로 보완 가능합니다.

Q. 유튜브 부업으로 200만 원 벌었어요. 신고 대상인가요?
→ 300만 원 이상 수익이면 신고 대상입니다.
하지만 300만 원 미만이라도 상황에 따라 면세가 아닐 수 있어요.
예: 타 소득과 합산되면 납세 의무가 생길 수 있음.

Q. 실업 상태인데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?
→ 소득이 없다면 신고 안 해도 됩니다.
단, 이전에 근무한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안 해줬다면 환급 목적 신고 가능해요.

Q. 본업(직장) 외에 배달 알바도 했어요.
→ 본업은 연말정산, 알바·배달 수입은 종소세로 따로 신고해야 합니다.



✅ 공제 항목 미리 체크하세요
• 건강보험료
• 의료비
• 기부금
• 교육비
• 주택자금
• 생명·실손보험료 등

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꼭 입력해서 세액공제받으세요.
실수로 누락하면 돌려받을 돈도 못 받아요!



✅ 홈택스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
1. 홈택스 바로가기
2. 로그인 → ‘종합소득세 신고’
3. 자동 불러온 소득 확인
4. 공제 항목 입력
5. 예상 납부액 확인 후 제출

손택스(모바일 앱)에서도 간편하게 가능합니다



✅ 유의사항 & 팁
• 신고 마감일: 2025년 5월 31일
• 미신고 시: 가산세 부과!
• 환급만 필요한 경우: ‘모두채움 신고서’ 사용하면 편리합니다
• 기본 공제 자동 반영되니 큰 수정 없으면 간단히 신고 가능



✅ 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!

👉 종합소득세 완전정복 보러 가기
https://geumzzokunni.tistory.com

이 블로그에는 중간 퇴사자 환급 사례, 부업자 신고 꿀팁, 홈택스 화면 설명까지 더 자세히 정리돼 있어요.



#연말정산차이점 #종합소득세신고 #초년생세금 #중간퇴사자환급 #부업소득신고 #홈택스신고방법 #2025 종합소득세